-
고양이-암-림프종-백혈병-원인-썸네일 림프종은 흔히 발생하는 고양이 암으로 발병 부위에 따라 조기 진단 시 예후가 좋습니다. 따라서 평소에 림프종 증상을 알고 있다면 혹시 모를 질병으로부터 고양이를 보호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림프종 종류 및 증상 그리고 원인이 되는 백혈병 바이러스까지 상세히 준비하였습니다. 이 글을 끝까지 읽고 나면 림프종 증상에 대해 알고, 림프종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을 것입니다.
림프종
림프종은 백혈구의 한 종류인 림프구에서 발생하는 암으로 고양이에게 발생하는 암 중 흔히 발생하는 암입니다. 림프종은 고양이 바이러스 중 두 가지 바이러스와 관련이 있고, 첫 번째 관련 있는 바이러스가 백혈병 바이러스입니다. 이는 백혈병 바이러스 검사에서 양성 결과가 나온 고양이가 음성 결과가 나온 고양이에 비해 림프종 발생률이 약 60배 높게 나오기 때문입니다.
두 번째 바이러스는 면역결핍증 바이러스입니다. 면역결핍증 바이러스 검사에서 양성을 보인 고양이는 림프종 발병률이 5배 높았고, 두 가지 바이러스에 모두 양성을 보인 고양이는 발병률이 80배 더 높게 나타났습니다.
리프종 종류
림프종이 가장 흔히 발생하는 부위는 척추, 위장관, 흉강이고 리프종의 종류는 세 가지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위장관 림프종
세 가지 림프종 유형 중 가장 흔하게 나타나며, 나머지 두 가지 유형과 비교하여 백혈병 바이러스와 관련성이 낮습니다. 위장관 림프종의 증상으로 식욕감소와 체중감소 증상이 노묘에게 나타나고, 종양의 위치에 따라 설사나 구토를 하기도 합니다. 그리고 림프종 발병률이 높은 고양이로는 샴고양이와 토종고양이가 있습니다.
정종 격 림프종
전종 격 림프종은 흉강 안의 림프절에서 발병하고, 증상으로는 체액이 축척되고 호흡곤란, 식욕감소, 역류증상이 나타납니다. 정종 격 림프종은 5세 미만의 고양이에게서 많이 발병하고 샴고양이와 동양 품종 고양이에게서 흔하게 발병합니다.
척수림프종
척수림프종은 3~4살의 수컷고양이에게서 많이 발병하고, 백혈병 바이러스 양성 판정을 받은 경우 척수림프종 발병률이 높습니다. 척수림프종 증상으로는 뒷다리 쪽에 문제가 나타나는 증상이 시작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림프종 치료
림프종 치료는 정확한 발병부위와 전이 여부에 따라 화학요법, 방사선요법, 외과적 수술 등 다양한 암 치료방법을 사용합니다. 림프종 중 위장관에 하나의 결절만 발병한 경우 예후가 좋으며, 척수에 발병한 경우 예후가 좋지 않습니다.
고양이 백혈병 바이러스
백혈병 바이러스는 암은 아니지만, 암의 대표적인 원인이 되며, 건강에 다양한 문제를 일으킵니다. 이러한 백혈병 바이러스는 급성 림프구성 백혈병, 급성 비림프구성 바이러스와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습니다. 물론 백혈병 바이러스에 노출되거나 검사에서 양성으로 판단돼도 무조건 질병에 걸리는 것은 아닙니다. 하지만 양성판정을 받은 고양이는 격리시키는 것이 좋고, 노출 가능성이 있는 고양이는 예방접종을 받아야 합니다.
백혈병 바이러스에 의한 암 검사를 위해서는 혈액검사와 골수 내 조혈세포를 흡입하여 검사하는 방법인 골수흡인검사가 필요합니다. 만약 백혈병 바이러스에 의해 암이 발병하였다면 고양이는 잘 먹지 않고 활력이 없으며, 열이 나는 증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급성 림프구성 백혈병에 걸린 고양이는 면역증강제와 코르티코스테로이드를 투여하면 일정기간 잘 지낼 수 있습니다. 그러나 급성 비림프구성 백혈병의 경우 예후가 아주 좋지 않아 대부분의 고양이가 2주 이내에 사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 글을 마치며
오늘은 고양이 암 중 흔히 발생하는 림프종 및 원인이 되는 백혈병 바이러스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림프종의 경우 초기 증상 확인 후 조기 진단을 받아 치료를 받을 경우 예후가 좋은 암입니다. 따라서 앞서 설명드린 증상을 평소에 인지하고 있는 것이 중요합니다. 림프종 외에도 고양이 암 및 백혈병에 대해 아래 함께 읽으면 좋은 글을 통해 준비하였으니 꼭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함께 읽으면 좋은 글
참고문헌: 고양이 질병의 모든 것( 저자 델버트 G. 칼슨, 데브라 M. 엘드레지, 리사 D. 칼슨, 제임스 M. 기핀)
'애완동물 > 고양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양이 백혈병 치료 어떻게 할까? (0) 2024.06.07 고양이 백혈병 고양이 암의 원인? (0) 2024.06.07 고양이 암 유선종양 3번째로 많이 발생? (0) 2024.06.07 고양이 암 갑상선암 노묘에게서? (0) 2024.06.07 고양이 암 백신접종에 의한 육종? (0) 2024.06.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