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4. 6. 7.

    by. 애완동물-이야기!

    고양이암-백신접종-육종-썸네일
    고양이암-백신접종-육종-썸네일

     

    고양이 암 중 백신접종과 관련 있는 암이 있습니다. 바로 고양이 육종이라는 암입니다. 생소하기도 한 고양이 암인 육종의 원인, 증상, 치료방법에 대해 자세히 준비하였으니 간편하게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백신접종에 의한 고양이 암 육종

    결합조직과 연부조직의 암인 육종은 고양이에게 새로운 암은 아니며, 백신접종과 육종 발병률이 관련이 있다는 것이 백신을 맞은 부위에서 고양이 육종이 주로 발병되면서 알게 되었습니다.

     

    특히 고양이 백혈병 바이러스 백신과 광견병 바이러스 백신이 다른 백신에 비해 육종 발병률이 높습니다. 근육주사와 피하주사를 맞는 부위 모두 영향을 받고 백신이 아닌 다른 주사에 의해서도 발병할 수 있습니다.

     

    고양이 암 육종 원인

    정확한 연관성이 아직 밝혀지지 않았지만, 알루미늄 항원보강제가 고양이 육종을 발생시키는 원인으로 의심되고 있습니다. 이유는 고양이 육종이 증가한 시기가 항원 보강제를 첨가한 사독 바이러스 백신으로 교체된 시기와 대략 일치하고 비슷한 시기에 알루미늄 항원 보강제 백혈병 바이러스 백신이 출시되었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항원 보강제는 면역반응을 증가시키기 위해 고양이 백신에 첨가하며, 사독백신에 많이 사용됩니다. 이와 같은 이유로 최근에는 항원 보강제를 사용하지 않고 백신 접종 부위의 염증을 최소화시키는 재조합백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새로운 고양이 백신 접종 가이드가 만들어져 고양이에게 백신을 접종하는 횟수를 줄이고 각각의 예방접종을 위한 부위도 추천하고 있습니다.

     

     

    백혈병 백신 접종해야 할까?

     

     

     

    고양이 암 육종 증상

    백신접종으로 인한 고양이 육종 발병은 매우 드물게 나타납니다. 발병률도 특정 고양이의 혈통 또는 일부지역의 발병률이 더 높기 때문에 천마리 중 한 마리부터 만 마리 중 한 마리로 발병범위가 넓습니다. 종양은 백신접종 후 몇 개월 후 또는 일부 고양이는 몇 년 뒤에 나타나기도 합니다.

     

    많은 고양이가 간혹 고양이 백신 접종 후 작은 혹이 생기지만 보통 한 달 이내에 사라지는데, 이러한 혹이 사라지지 않고 계속 남아있는 경우 동물병원에서 수의사의 진료를 받아야 합니다.

     

    아직 고양이 육종과 관련하여 정확한 원인과 치료방법이 명확하지 않아서 미국에서는 백신접종에 의한 고양이 육종대책 위원회를 설립하였습니다. 이러한 위원회를 통해 고양이 육종의 원인과 치료방법에 대해 끊임없이 연구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대표적인 고양이 암 증상은?

     

     

    고양이 육종 치료

    고양이 육종은 상당히 공격적인 고양이 암으로 근육층의 안쪽 또는 사이로 전이되어 수술로 암세포를 확실히 제거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습니다. 수술 전후로 방사선 요법을 병행하면 치료결과가 좋습니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대부분 다시 재발하는 악순환에 빠집니다.

     

    고양이 암 치료 종류는?

     

     

    이 글을 마치며

    오늘은 고양이 암 중 고양이 육종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고양이 육종의 원인은 고양이 백혈병 백신 등 백신접종에 의한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아직은 확실한 원인과 치료방법이 확실하지 않기 때문에 계속 연구 중에 있는 고양이 암입니다. 하지만 끊임없이 연구를 하고 있기 때문에 언젠가는 효과적인 치료방법이 나올 것으로 생각이 듭니다.

     

    그리고 오늘 소개드린 고양이 암인 육종 이외에도 고양이에게 다양한 암이 발병할 수 있습니다. 이 중 가장 흔한 암인 '림프종'이라는 암이 있습니다. 고양이 암은 빠른 진료와 치료가 중요합니다. 그래서 고양이 암 중 흔하게 발생하는 암인 림프종의 증상에 대해 준비하였으니 놓치지 말고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고양이 암 림프종 증상은?

     

     

     

    참고문헌: 고양이 질병의 모든 것(저 데브라 M. 엘드레지, 리사 D. 칼슨, 델버트 G. 칼슨, 제임스 M. 기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