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양이-백혈병-백신접종-썸네일 고양이 백혈병은 고양이 사망의 두 번째 원인이 될 정도로 무서운 고양이 질병입니다. 따라서 고양이 백혈병 백신접종은 백혈병을 예방하는데 중요한 수단 중 하나입니다. 이러한 고양이 백혈병 백신접종 시기와 방법, 종류까지 준비하였으니 간편하게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고양이 백혈병 백신 접종
고양이 백혈병 백신은 100% 완전한 효과를 볼 수 있는 백신은 아닙니다. 백혈병 백신을 맞은 고양이도 백혈병에 감염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백혈병 백신은 효과가 100% 완전하지 않고, 고양이 입양 전 백혈병 바이러스 검사를 실시했다면 이후 감염될 확률이 높지 않기 때문에 선택 예방접종으로 분류합니다.
고양이 중 집 밖에 살거나 집 밖을 돌아다니는 고양이의 경우 백신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특히 새끼고양이의 경우 백혈병에 가장 취약함으로 기초 예방접종을 하고, 1년 후 첫 추가접종할 것을 추천드립니다. 다만, 고양이가 외부활동이 없고 다른 고양이와 접촉할 가능성이 없을 때는 더 이상 추가접종은 하지 않아도 됩니다. 그리고 예방접종을 하기 앞서 백혈병 검사를 추천드립니다. 왜냐하면 백혈병 검사에서 양성이 나왔거나 이미 감염된 경우 예방접종 효과를 볼 수 없기 때문입니다.
만약 ELISA 검사(효소면역 분석법)가 음성인 경우 8~12주에 접종한 후 14~16주에 추가로 접종하고 첫 번째 추가접종은 1년 뒤에 받습니다. 백신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 예방접종 일정을 정확히 따라야 합니다. 2~3주 간격으로 두 차례 접종하고 1년 뒤에 추가 보강 접종을 합니다. 그리고 필요한 경우 매년 추가 접종을 실시합니다.
백혈병 백신 종류
백신의 종류는 항원보강제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피형 재조합 백신과 항원보강제가 포함된 주사형 사독백신 두 가지가 있습니다. 유럽의 경우 항원보강제가 포함되지 않은 피하주사형 재조합 백신을 사용하고 있고, 우리나라의 경우 주사형 사독백신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백신 관련 육종 권고사항에 따르면 왼쪽 뒷다리 부위의 말단에 피하주사할 것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이 글을 마치며
오늘은 고양이 백혈병 백신 접종 시기, 방법, 종류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백신은 100% 백혈병을 예방하진 않지만 어느 정도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특히 고양이가 백혈병에 감염될 경우 암과 다른 질병에 감염될 수 있는 위험이 높아집니다. 이러한 백혈병은 증상이 경미하여 모르고 지나가는 경우도 많습니다. 따라서 고양이 백혈병 증상을 알고 고양이를 확인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그래서 아래 함께 읽으면 좋은 글을 통해 백혈병 증상 조기 확인 방법, 치료 방법을 준비하였으니 간편하게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함께 읽으면 좋은 글
참고문헌: 고양이 질병의 모든 것(저자 리사 D. 칼슨 외 3인)
'애완동물 > 고양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양이 백혈병 증상 조기에 아는 방법은? (0) 2024.06.07 고양이 백혈병 치료 어떻게 할까? (0) 2024.06.07 고양이 백혈병 고양이 암의 원인? (0) 2024.06.07 고양이 암 림프종 백혈병도 원인? (0) 2024.06.07 고양이 암 유선종양 3번째로 많이 발생? (0) 2024.06.07